Armeria의 DocService 코드 상세분석(1)
지난 포스팅 지난 포스팅 : Armeria DocService 구조 이해 지난 포스팅에서 Armeria 프로젝트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DocService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이 있었다. 현 시점엔 기능구현은 얼추 마치고 PR_DRAFT로 올려놨는데, 여기까지 오기에 앞서 코드를 분석했던 내용을 정리하기로 했다. DocService의 시작 A...
지난 포스팅 지난 포스팅 : Armeria DocService 구조 이해 지난 포스팅에서 Armeria 프로젝트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DocService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이 있었다. 현 시점엔 기능구현은 얼추 마치고 PR_DRAFT로 올려놨는데, 여기까지 오기에 앞서 코드를 분석했던 내용을 정리하기로 했다. DocService의 시작 A...
배경 Armeria라는 프로젝트에 기여하기위해 이슈를 찾아보던 중, 다음과 같은 이슈를 발견했다. #6313이슈 어떤 내용일까 싶어서 찾아보니 DocService라는 문서생성 총괄 클래스에 상속과 다형성을 추가해달라는 의미로 이해하여 기여를 해보기로 했다. Armeria의 특징 Armeria는 어떠한 상황 에서도 사용가...
오늘 배운 것 Armeria 프레임워크 기여를 위해 이슈를 찾던 도중, Armeria의 DocService라는 API문서 생성기가 다형성과 상속 관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슈를 보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있다. DocService와 비교되는 주요 라이브러리로 SpringDoc같은게 있는데, OpenAPI-Swagger의 문서 작성기능을 ...
1 들어가며 7월 초 부터 SSAFY 생활을 하면서 적응을 하느라 개인공부를 할 시간을 내지 못했다. 그러다가 잠깐 시간이 남아서 Java Spring WebFlux에 관한 공부를 했고, 간단히 기록하고자 한다. 원래 목표는 Line의 Armeria라는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것이었는데, 이 프레임워크를 알아가기위해 이와 유사한 Spring WebFl...
1 들어가며 “우리조상알기” 프로젝트는 2023년 9월~12월동안 진행한 캡스톤디자인(1) 프로젝트이다. 당시 프론트 1명, 백엔드는 나를 포함한 2명으로 진행했었다. Java Spring을 배우고 처음으로 활용한 프로젝트였고 당시 프로젝트를 어떻게든 빠르게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다보니 코드의 Quality가 낮았는데 그만큼 리팩토링을 적용할 부...
3-4. ⭐ 추상화 자세히 알아보기 (가장 중요)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계어부터 Java, Python에 이르기까지 점점 인간이 이해하기 쉽게 진화해 왔다. 어셈블리어는 010001 같은 이진수 대신 add, jmp 같은 명령어를 사용했고, C언어는 for, if, struct 등을 통해 보다 자연스럽고 읽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
3. 객체지향과 Java 이전 포스팅-스프링입문을위한 자바 객체지향의 원리와 이해(1) 에서는 왜 객체지향이고 왜 Java인지 간단히 살펴봤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자. 3.1 객체지향의 4대 특성 캡슐화 (Encapsulation) 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의 객체로 묶어 외부로부터...
1. 들어가며 Java, Spring를 사용하여 몇번의 프로젝트를 해왔으나 진행할때마다 새로운 기분이 들었고, 이 Spring 코드를 왜 써야 하나 이런 궁금증이 생기기도 했다. 그러다가 설계패턴과목을 들으면서 OOP, SOLID원칙에 따라 코드를 역할과 책임에 따라 나누고 세련되게 작업하는 법을 배우고 실천하면서 문득 내가 주로 사용하는 Spring...
1. 들어가며 나는 노트북으로 작업하기보단 데스크탑으로 작업하는것을 선호한다. 노트북이 있음에도 모니터 크기나 키보드, 마우스가 불편한 점이 있어 학교 실습실의 데스크탑을 사용하곤 했다. 실습실 컴퓨터와 우리 집의 데스크탑사이에서 작업물을 공유하기위해 카톡을 쓰기도 하고 github에서 private용의 Repo를 쓰기도 했으나 전자의 경우 매번 프로...
1. 들어가며 Ubuntu와 같은 리눅스 배포판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있고, 실제 업무에서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리눅스 배포판은 어디까지나 업무환경의 일환으로 학습의 대상이고 결코 편한 환경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적어도 내 주위 사람에겐 그렇다.) 나는 다른 사람들과 같이 윈도우를 쭉 사용해 왔으나, 최근 리눅스 민트를 주 ...